'Hand Made Work/장신구 제작'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6.12.29 담연 한복 상투관 제작 (한복 상투관) 2
  2. 2016.08.24 영화 소품용 상투관 제작
  3. 2016.08.09 신라시대 귀걸이 제작 14

황동 엔티크 상투관 제작

 

 

 

심플하면서 가벼운 상투관을 제작했다

짧은 시간에 고민후에 결정해 주신 상투관이다 급하게 서둘러 제작하다 보니 정신없이 제작했던 기억이

경기도 양주의 거래처까지 두번이나 왔다 갔다 한...

 

 

 

 

 

 

 

비취 용비녀 상투관

담연에서 직접 준비해서 보내주신 비취 비녀와 함께 사용할수 있게 비녀가 꽂아지는 구멍의 지름을 상당히 늘려서 제작했다

 

 

 

 

 

 

 

 

테두리의 꽃문양을 음각하고 음영을 강하게 주어 제작했다

조금 더 어두운 색상을 원하혔는데 생각만큼 색상이 나왔는지 모르겠네요

(도금할 때 물의 온도, 전압 등등 도금의 색상은 매번 조금씩 미세하게 다르게 나온다)

수치상으로 정확한 색상을 도금으로 표현한다고 하지만 요즘처럼 겨울에는 도금이 쉽지 않다고..

 

 

 

 

 

 

 

기본 스타일의 비작업실의 스타일로 제작된 상투관이다

부담스럽지 않은 콘셉트를 원하셧던 터라 걱정했는데 기간 내에 납품 후, 만족하시며 고맙다고 칭찬까지 해주시니

어찌나 감사하던지 :-)

 

 

 

 

 

 

한복과 함께 상투관을 착용하고 예쁜 그림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한복 작업과 같이 손으로 작업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존중하며 이해해주시는 디자이너님!

납품후에 인사까지 잘 하고 돌아와 뿌득했던 상투관 작업이였어요.

'Hand Made Work > 장신구 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소품용 상투관 제작  (0) 2016.08.24
신라시대 귀걸이 제작  (14) 2016.08.09
Posted by to4ma
:

 

 

 

 

 

 

영화 소품을 제작

엔틱한 상투관

 

남성들이 사용하는 상투관으로 빈티지한 마무리를 하여 엔틱함을 주어, 사극의 시대적 배경에 맞게 표현하였다

 

 

 

 

 

 

 

 

#1 상투관

사각형의 모양으로 제작된 이 상투관은 당초문양의 테두리와 상투 꽂이가 꽂아지는 부분의 디테일을 살렸다

 

 

 

 

 

 

 

#2 상투관

가운데 겹쳐진 뒷판에 망치로 강한질감의 텍스쳐 표현해 작업한 상투관이다

 

 

 

 

 

 

 

#3 용 상투관

양쪽의 꽂이 끝을 용으로 작업하여 무게감을 더하고 화려한 문양을 이용해 제작한 상투관

주인공이 착용하게 될 상투관이다

 

 

 

 

 

 

 

#4 상투관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철제의 느낌은 살리되 무게를 최소화한 아주 가벼운 상투관이다

투각 기법을 이용해 금속의 무게를 최소화 하였다

 

 

 

 

 

 

 

#5 소가죽 금속 상투관

겉면의 금속과 상반되는 안쪽의 두꺼운 소가죽을 이용해 투톤의 색상과 부드러운 가죽의 느낌을 살린 가죽상투관이다

 

 

 

 

 

 

 

 

#6 양가죽 금속 상투관

소가죽에 비해 더 가볍고 부드러운 양가죽을 이용해 가볍게 제작된 상투관과 함께 조화를 이룬 금속 상투관이다

이 상투관의 특징은 테두리에 두꺼운 리벳팅이 질감을 더 느낄 수 있다는 게 포인트이다

'Hand Made Work > 장신구 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연 한복 상투관 제작 (한복 상투관)  (2) 2016.12.29
신라시대 귀걸이 제작  (14) 2016.08.09
Posted by to4ma
:

 

 

 

 

 

 

신라시대 고증을 토대로 귀걸이를 제작했다

시대의 특성을 잘 살려 사전과 여러분야의 정보를 통해 고증을 바탕으로 제작을 하였고 금과 은 두종류로 제작을 하였다

 

 

 

 

 

 

 

 

 

천마총 귀걸이와 신라시대 귀걸이 유물을 토대로 독특한 양식의 귀걸이들을 접할 수 있었고

가는 고리와 추 모양의 장식을 중간 고리로 잇는 형태의 귀걸이들로 제작하였다

 

 

 

 

 

 

 

다양한 세공기법을 토대로 발전한 기술은 여러가지 재료와도 함께 사용했는데

우리도 그 고증을 토대로 옥돌을 이용해 옥돌귀걸이도 제작했습니다

 

 

 

 

 

 

 

신라시대 귀걸이의 특징을 누금기법을 많이 사용하였다는 건데

(누금: 금속(금,은 등) 알갱이를 하나하나 땜으로 붙여 금속점모양의 패턴을 일정하게 붙여 넣는것)

이는 신라시대의 세공기술이 그 당시에도 상당한 수준의 기술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제작을 하면서 선조들의 기술과 역사에 감탄을 했다

 

 

 

 

 

 

 

 

현대에서 사용하는 침식 귀걸이와 귀를 뚫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클립형 귀걸이 귀찌를 이용하여 남자들도 사용할 수 있게 제작하였습니다

 

신라시대 고증에 따르면 그 당시에도 남성들의 장신구와 화장기법이 많이 발달하고 사용되었다고 하니

요즘 처럼 남자들도 화장하는 시대는 먼 옛날부터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귀찌형태의 귀걸이와 클립형태의 귀걸이

 

 

 

 

 

 

 

 

 

마지막으로 은으로 도금한 은귀걸이 까지 완성하였습니다

소품으로 제작했지만 실제로 사용해도 큰 무리가 없이 속파기를 하여 최대한 가볍게 제작했습다

Posted by to4ma
: